카테고리 없음

[일상] 상대에게 끌려가지 않는 대화 법, 거절하는 방법

mary_lee 2025. 2. 19. 00:26

 

 

 

상대에게 거절이 어려운 이유 

거절이 어려운 이유는 심리학적, 사회적,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

죄책감과 타인의 감정 고려면에서 거절하면 상대가 상처받을 것이라는 인지적 오류때문에 부담을 느낍니다.

공감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타인의 감정을 더 고려하기 때문에 거절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사회적 비교 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 Festinger, 1954)에 따르면 우리는 타인과 비교하며 자신을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거절을 통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까 봐 두려워할 수 있습니다.

 

자기 결정권자율성 저하

자기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1985)에 따르면 인간은 자율성(autonomy), 유능성(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이라는 세 가지 기본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절이 어려운 사람은 관계성 욕구가 강한 반면, 자율성 욕구가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즉, ‘나는 다른 사람에게 맞춰야 한다’는 신념이 형성되어 있어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이 부담스럽습니다.

 

착한 사람 콤플렉스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성향이 강한 경우 거절이 어려워집니다.

이는 사회적 승인 욕구(Need for Social Approval, Leary, 2007)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사람일수록 거절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적 요인

사회적 상호성의 법칙(Norm of Reciprocity, Gouldner, 1960)에 따르면 인간은 도움을 받으면 되갚아야 한다는 심리적 압박을 느낍니다.

즉, 거절을 하면 ‘나는 이 관계에서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부담이 생깁니다. 이는 집단주의적 문화(예: 한국, 일본)에서 더욱 강하게 작용합니다.

 

역할 기대

사회적 역할이 고정된 환경에서는 특정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기대가 거절을 어렵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리더십 연구에서는 상사나 선배가 된 사람일수록 타인의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더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신경과학적 요인

거절 불안과 뇌의 반응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때, 편도체와 전대상피질이 활성화됩니다.

이는 거절이 단순한 의사결정이 아니라 생리적으로도 불안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행동임을 보여줍니다.

거절 후 ‘내가 잘못한 것은 아닐까?’라는 반추가 일어나는 이유도 전대상피질이 지속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소외와 생존 본능

인간은 본능적으로 집단에 속해야 생존할 확률이 높았기 때문에 사회적 거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는 거절이 소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뇌가 이를 회피하려는 기제를 발달시켰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거절의 경험이 반복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이 증가하여 더욱 위축된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상대에게 휩쓸리지 않고 원하는 것 말하는 3가지 법 

상대에게 휩쓸리지 않고 내 의견을 말하려면 자신감을 갖고, 명확하게, 부담 없이 말하는 습관이 중요합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몇 가지 방법을 익히면 훨씬 쉬워집니다.

 

1. I Message로 말하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원하는 걸 말할 때 상대를 배려하려다 보니 "너 왜 그래?", "넌 항상 내 말 안 들어" 같은 표현을 쓰곤 해합니다. 하지만 이런 말은 상대를 방어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

 

2. 내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기

많은 사람이 "음… 난 상관없어", "네가 정해!"라고 말하면서 사실 속으로는 원하는 게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말하면 상대는 내가 원하는 게 없는 줄 알고 자기 방식대로 결정해버립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하게 말하는 연습을 하세요. 

 

3. ‘부드러운 단호함’으로 말하기

내 의견을 말한다고 해서 무조건 강하게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말하면 상대도 내 입장을 존중하게 됩니다.

 


 

 

건강하게 거절하는 방법

# 거절을 쉽게 하기 위한 심리적 전략

 

인지적 재구성

거절을 ‘상대를 배려하지 않는 행동’이 아니라 ‘나를 지키는 정당한 선택’으로 재해석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거절하면 관계가 나빠질 것 같아”가 아닌 “건강한 관계라면 한 번의 거절로 무너지지 않는다.”로 재해석 합니다. 

 

최소한의 정보 제공

과도한 설명은 상대가 더 강하게 설득하도록 만듭니다. “제가 요즘 너무 바쁘고, 개인적인 사정도 있고….”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미안해요, 이번에는 어려울 것 같아요.”

 

긍정적 대안 제시

“지금은 어렵지만, 다음에는 도울게요.”, “내가 대신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라는 말로 대안을 제시합니다. 

 

몸의 반응 조절

거절할 때 심장이 빨리 뛰거나 손에 땀이 날 수 있습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심호흡, 이완 기법을 활용하면 신경계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