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평론가란?
영화평론가는 영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그에 대한 비평을 작성하는 전문가입니다. 단순히 영화의 줄거리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연출, 연기, 시나리오, 촬영 기법, 음악, 주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영화의 예술적·사회적 의미를 논합니다.
영화평론가는 신문, 잡지, 방송,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평론을 발표하며, 독자나 관객이 영화를 보다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거나 영화 관련 강의를 하기도 합니다.
평론의 방식은 주관적일 수도 있지만,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분석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영화평론가는 영화 이론, 역사,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며,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한국 영화 평론가, 이동진
이동진 평론가는 한국 영화 평론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한 인물로, 단순한 영화 해설을 넘어 영화와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태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영화뿐만 아니라 문학, 음악,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그의 평론과 글은 독자와 관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1995년 조선일보 기자로 입사하며 영화 비평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조선일보의 대표적인 영화 담당 기자로 활동하며,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감성적인 문체로 주목받았습니다. 2008년 신문사를 퇴사한 후, 본격적으로 프리랜서 영화 평론가로 활동을 이어가며 다양한 매체에서 영화 비평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인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EBS 영화가 좋다’와 ‘MBC TV 특종 영화 이야기’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이후 ‘MBC 심야의 FM’, ‘MBC FM 이동진의 꿈꾸는 다락방’ 등을 진행하며 라디오 DJ로서도 활약했습니다. 그가 대중적으로 더욱 유명해진 계기는 JTBC의 ‘방구석 1열’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다양한 영화와 관련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하며, 영화 팬들 사이에서 신뢰받는 평론가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 ‘이동진의 파이아키아’를 운영하며 영화뿐만 아니라 문학, 음악, 철학,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팟캐스트 ‘영화당’을 통해 김중혁 작가와 함께 영화에 대한 폭넓은 이야기를 나누며 청취자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이동진 평론가는 감성적이면서도 논리적인 분석이 돋보이는 글을 쓰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영화 비평은 단순히 영화의 줄거리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가 담고 있는 주제, 연출 기법, 감정선 등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그가 매긴 별점 평가는 영화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곤 합니다. 그의 별점은 엄격하기로 유명하며, 평점이 4점 이상이면 대단히 높은 평가로 간주됩니다.
또한, 그는 특정 영화에 대해 다층적인 해석을 시도하며, 문학과 철학적인 개념을 영화에 접목하는 방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참 핫했던 드라마 멜로무비 남주 직업이 영화 평론가!
[드라마] 넷플릭스 멜로무비 몰아보기(1-10부), 드라마 줄거리
멜로무비사랑도 하고 싶고 꿈도 이루고 싶은 애매한 청춘들이 서로를 발견하고 영감이 되어주며 각자의 트라우마를 이겨내는 영화같은 시간을 그린다시간(2025-02-14~2025-02-14)출연최우식, 박보영,
badawriting.co.kr
영화 평론가 되는 법
영화 평론가가 되려면 영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갖추고, 꾸준히 글을 쓰며 자신의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영화 평론가가 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단순한 취미가 아니라, 꾸준한 공부와 글쓰기 훈련이 필요한 직업입니다. 영화에 대한 열정과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자기만의 색깔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영화에 대한 깊은 이해 쌓기
많이 보고 분석하기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보고, 단순한 감상에서 벗어나 연출, 촬영 기법, 서사 구조 등을 분석하는 습관을 기릅니다.
영화 평론을 읽으며 평론가들이 영화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연구합니다.
영화 이론 공부
영화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감독과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몽타주, 미장센, 내러티브 구조 등 영화적 개념을 공부하면 깊이 있는 비평이 가능합니다.
관련 전공(영화학, 문예창작, 철학, 사회학 등)을 공부하면 도움이 됩니다.
2. 글쓰기 능력 기르기
꾸준히 영화 리뷰 및 평론 작성
블로그, SNS, 브런치, 네이버 포스트 등에 영화 리뷰를 작성하며 글쓰기 연습을 합니다.
단순한 감상평이 아니라 영화의 주제, 연출 방식, 시대적 맥락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글을 씁니다.
다른 평론가의 글 읽고 분석하기
이동진, 김혜리, 정성일 같은 유명 평론가들의 글을 읽고 그들의 스타일과 논리를 분석해 봅니다.
외국의 영화 평론(로저 이버트, 폴린 카엘 등)도 참고하면 비평의 깊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판적 사고 키우기
영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 영화는 왜 좋은가,나쁜가?"를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3. 공식적인 경로로 진출하기
영화 관련 학과 또는 글쓰기 전공 공부 (필수는 아님)
영화학, 언론학, 문예창작학, 철학 등을 전공하면 영화 분석 및 글쓰기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영화 평론 공모전 도전
씨네21,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신인 영화 평론 공모전을 개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모전 수상은 영화 평론가로 인정받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영화 매체에서 활동
영화 전문 매체(씨네21, 필름2.0, 익스트림무비 등)나 문화 잡지에서 평론가로 활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정식 기자로 들어가기는 어렵지만, 기고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 팟캐스트, 블로그 활용
최근에는 유튜브, 팟캐스트, 블로그 등을 통해 독립적으로 영화 평론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상 콘텐츠 제작이나 SNS 활동을 통해 자신의 평론을 대중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4. 영화계와 네트워크 형성
영화제 참석 및 네트워킹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등 영화제에 참석하며 영화인들과 교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화 GV(관객과의 대화), 감독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영화 관련 행사 참여
영화제, 시사회, 영화 강연 등에 참석하며 업계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면 기회를 얻는 데 유리합니다.
5. 지속적인 활동과 자기 브랜드 구축
꾸준한 활동이 중요
영화 평론가는 단기간에 유명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꾸준히 글을 쓰고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신뢰를 쌓아야 합니다.
블로그나 SNS에서 꾸준히 글을 올리고, 독자들과 소통하며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만의 스타일 만들기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자신만의 해석과 개성이 담긴 평론이 필요합니다.
글쓰기 스타일, 특정 장르에 대한 전문성, 독창적인 시각 등을 통해 차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