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상] 상대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이것' 때문이다.

by mary_lee 2025. 2. 14.

 

상대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 

상대에게 하고 싶은 말을 못하는 사람들의 심리적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개인의 성향, 경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절에 대한 두려움 (Fear of Rejection)

자신의 의견을 말했을 때 상대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까 봐 걱정하는 심리입니다. 특히 대인관계에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한 사람일수록 이런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갈등 회피 성향 (Conflict Avoidance)

대화를 통해 갈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면 아예 말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타인의 감정을 지나치게 배려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자존감 부족 (Low Self-Esteem)

자신의 의견이 중요하지 않다고 느끼거나 상대가 자신의 말을 무시할 것 같다는 생각 때문에 표현을 주저합니다.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사회적 불안 (Social Anxiety)

대인관계에서 긴장을 많이 하고, 실수를 하면 어쩌나 하는 걱정 때문에 말을 꺼내기 어려운 경우입니다. 특히 낯선 사람이나 권위적인 상대 앞에서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완벽주의 (Perfectionism)

"내가 완벽하게 말하지 않으면 안 돼"라는 생각 때문에 준비가 안 됐다고 느끼면 말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즉흥적으로 의견을 말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인 중심 사고 (People-Pleasing)

"상대가 어떻게 생각할까?"를 지나치게 의식하여 자신의 의견보다 상대의 감정을 우선시하는 성향입니다. 자신이 불편하더라도 상대가 불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트라우마 (Past Trauma)

어린 시절 부모나 교사, 친구들에게 의견을 표현했다가 부정적인 반응(비난, 무시, 처벌)을 경험한 경우 이후에도 말을 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권위적인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데 더 어려움을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뿐만 아니라 상대에 태도나 말에 '자동적 생각'으로 인해 부정적 반응 후에 상대에게 원하는 말과 태도를 보일 수 없게 됩니다. 자동적 생각이란 무엇일까요? 

 

자동적 생각이란?

 

자동적 생각은 특정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사고 과정으로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빠르게 결정짓는 역할을 합니다. 이 개념은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창시자인 애런 벡(Aaron T. Beck)이 제시한 인지모델(Cognitive Model)의 핵심 요소입니다.

 

1. 자동적 생각의 특징

무의식적이고 신속합니다.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특정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입니다.

예를들어, 길에서 친구를 만났는데 인사를 받지 못하면 "나를 무시하나?"라는 생각이 자동적으로 드는 것입니다. 

 

주관적이고 개인적입니다. 

같은 상황에서도 사람마다 다르게 반응합니다. 

예를들어, 발표 전에 어떤 사람은 "잘할 수 있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사람은 "실수하면 어떡하지?"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이 많으면 우울, 불안 등의 감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자동적 생각은 자존감 향상과 자신감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2. 자동적 생각과 인지왜곡

자동적 생각은 종종 인지왜곡(cognitive distortion)을 포함하며, 이는 현실을 비합리적으로 해석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분법적 사고

"완벽하지 않으면 실패야." 흑백논리로 상황을 극단적으로 해석합니다. 

과잉 일반화

"한 번 실패했으니 앞으로도 계속 실패할 거야." 한 가지 경험을 전체로 확대 해석합니다. 

정신적 여과

"내가 잘한 건 아무 의미 없어. 실수한 것만 중요해." 긍정적인 경험을 무시하고 부정적인 부분만 부각합니다. 

감정적 추론

"불안하니까 분명히 뭔가 잘못될 거야." 감정을 객관적 사실로 착각합니다.

낙인 붙이기

"나는 완전히 무능한 사람이야." 특정 행동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부정적으로 규정합니다. 

 

3. 자동적 생각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울증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이 지속되면 우울한 감정이 강화됩니다. 

불안장애

부정적인 예측이 많을수록 불안이 증가합니다. 

자존감

자신을 비난하는 자동적 생각이 많으면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